티스토리 뷰

누구나

효의 시작

안소민 2017. 8. 16. 17:28


효의 시작은 부모를 섬기는데 있고 중간 단계는 나랏일에 충실하는
데 있으며, 효의 마지막은 이름을 드러내는 것이다. 몸을 세워 도를 행함
으로써 후대에 이름을 날려 부모의 이름을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의 마지막이다.
부모를 섬기는 사람은 윗자리에 있어도 거만하지 않고 아랫자리에
있어도 질서를 어지럽히지 않으며 같은 무리와 함께 있어도 서로 다투지않는다.



효자가 부모를 섬김에 평소에는 공경을 극진히 하고 봉양할 때에는
즐거움을 다하고 질병에 걸렸을 때는 근심을 다하고 돌아갔을 때는 슬픔
을 다하고 제사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해야 한다. 이 다섯 가지를 갖춘

뒤라야 부모를 잘 섬긴다고 할 것이다.



효경에서도 역시 효는 모든 덕의 근본이라고 말하고 있다. 『논어』와
달리 더욱 강조되고 있는 점은 부모에게 물려받은 신체에 대한 존중을 보이
는 점이다. 특히 우암(尤菴) 송시열(16071689)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몸
체는 완전하며 이 안에는 모든 착함이 갖춰져 있다고 보았다.144 따라서 자
녀로서 착함이 한 가지라도 드러나지 못하거나 행하지 않는 것은 효라고 볼
수 없으며, 마음의 모든 욕망을 버리고 천도(天道)의 이치를 터득하기 위해
서는 부모가 물려준 몸을 청명하게 해야 하며,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계속 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신체를 소중히 여기는 것이 『효경』에 나타난 효의 시작이며,
몸을 세우고 도(道)를 행하여 후세에 이름을 널리 알려 부모를 나타내는 것
이 효의 마지막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효는 어버이에게 한정되는 것이 아
니라 임금을 공경하는데 까지 나아간다. 『효경』에 나타난 효의 의미는 효
행이 단지 가정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를 위해 헌신하고 충
성하여 부모와 조상, 가문의 명예를 빛내는 것이다.146 이는 유교 사상을 나
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사회의 기본구조는 가정이며, 세계도 가족적
질서로 구축된 것으로 본다.147 즉 유교 세계관의 가장 중심은 가족, 가문의
혈연공동체인 것이다.148 때문에 인간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 효이다.




이유재는 효경에서 말하는 효의 개념을 세 가지로 정리하는데 첫째, 효
는 신체를 보존하는 것으로, 자신의 신체를 잘 보전하여 부모를 근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둘째, 효는 봉양을 하는 것으로,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
로 부모를 모시고 섬기는 것이며 셋째, 효는 공경하는 것으로서, 자녀가 부
모를 하나님과 같이 존귀하게 여기며 존경하는 것이라고 정리했다.149 또한
최성규는 『효경』에 나타난 효의 형식을 ‘자신의 보호, 부모공경, 부모공양,
부모에 대한 복종, 종사(從嗣), 행상제례(行喪祭禮), 입신양명(立身揚名)’으로요약했다.


'누구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0) 2017.08.18
자존감의 욕구  (0) 2017.08.17
『논어』의 리인(里仁)편  (0) 2017.08.15
문화적응  (0) 2017.08.14
남한사회에 다문화적 변화  (0) 2017.08.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