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어질법도 한대..

문화창의산업의 특징

안소민 2017. 7. 17. 17:27


각 나라마다 문화창의산업이란 용어에 대한
정의는 모두 다르다. 예를 들어, 문화창의산업을 우리나라의 경우는 문화산업
으로, 미국은 저작권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정의에 차이가 나는 이
유는 각 나라 및 지역마다 문화창의산업 범주의 산업 중 보다 중점적으로 육
성시키는 산업의 특성에 비중을 두고 정의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중국 문화창의산업은 신흥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산업의 개념 분석
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 범위 및 개념이 매우 포괄적이며 광의적이다. 그 핵
심적 산업으로 문화산업과 창의산업의 융합이 있었다. 그러므로 정책이나 발
전전략에 있어서 문화산업 정책이나 창의산업 전략 등을 함께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경제노선인 과학적 발전관과 ‘11차5개년’ 계획의 문화산
업 진흥정책의 일환으로 문화창의산업을 육성시키려는 것으로 생각된다.
문화창의산업은 앞으로 중국의 경제성장을 위한 핵심 산업으로서 발전해
나아갈 것이며, 그 정책상이나 개념상에 있어서도 좀 더 명확한 형태를 갖게
될 것이다. 현재 중국의 문화창의산업 구조와 분류 같다.




문화창의산업은 핵심류 문화창의산업과 주변류 문화창의산업
그리고 확대류 문화창의산업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분류 기준은 '창의
성'의 실현 방법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핵심류 문화창의산업은 직접적인
창작과정이 필요한 산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장 '창의성'을 많이
요구하는 유형이라고 하겠다. 두 번째로 주변류 문화창의산업은 창작된 창조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어떻게 재가공하고 유통시키며, 판매하느냐를 중요시
하는 유형이기 때문에 '창의성'의 비중이 핵심류 문화창의산업보다는 크지는
않지만, '창조적 상품과 서비스'를 통한 '창의성 전이(轉移)'의 역할을 함으로
써 문화창의산업을 더욱 활성화 시키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확대류 문화창의산업은 '창의성'을 체험하는 단계로써 다시 재창조를 가능하게 하는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문화창의산업이 창의성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세계화에 따라 중국 또한, 자국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블루오션을 찾기 위해서 '창의성'을 개발해나가는 단계라고도 볼 수 있겠다.




문화창의산업의 특징
앞서 서술했듯이, 문화창의산업은 창조적인 개인의 지혜, 기술 및 재능에
의존하여 과학기술을 통해 문화자원을 개발하고, 지적재산권을 통해 그 개발
된 자원을 운영하여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생산해냄으로써 창조자본과 일자리
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유네스코에서는 "문화창의산업은 문화생산품, 문화서
비스와 지적재산권을 포함하는 산업이라고 정의했다."
모든 문화창의활동은 일정한 문화적인 배경에서 진행된다. 하지만, 창의는
단순히 전통문화의 복제가 아니라 인간의 감성과 상상력과 과학기술이 만나
전통문화자원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창의산업은
지식집약형 신흥 산업으로써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