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멀티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안소민 2017. 8. 5. 22:21

 멀티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현재 국내 음악시장의 규모는 2005년도를 기준으로 약 3,708억 원
에 달하고 있으며 세계시장 점유율은 약 0.83%(3억 1천500만 달러)
에 이르고 있다.123) 매체의 다변화로 인해 국내 음악시장이 받은
영향 중 가장 특기할만한 사항으로는 CD시장으로 대표되던 오프-라
인 시장의 급격한 붕괴와, MP3 방식으로 압축된 음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즉 실시간 음원 제공방식을 취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나 모
바일 서비스 등 온-라인시장의 급부상을 들 수 있다.




온-라인시장은 PC 상용화 그리고 광통신 보급률 세계 1위라는 국
내 정보통신환경과 IT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2000년대 들어
비약적으로 그 시장이 확대되었으며, 2003년도부터 오프-라인시장
의 매출을 역전하기 시작하였다. 그와 같은 급속한 매체의 전환은
유통 구조, 수익 배분, 제작 방식 등 음반 산업 전반에 걸친 변혁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으며,

매체의 급속한 전환에 적응하지 못한
채 과거의 경영방식이나 매체에 연연했던 상당수 유통사와 제작사
들은 급격한 수입 감소로 인해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특히 ‘정보
의 공유’를 모토로 삼는 P2P 시스템의 확산은 음악에 대한 인식
자체를 뒤흔들어버렸다. 즉, 음악은 개인적으로 소장하는 ‘상품’
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함께 공유해야 할 ‘정보’가 되어버렸
다. 영미권이나 유럽, 일본 등 문화 선진국에 비해 지적 재산권을
존중하고 보호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우리나라의 경우는, 특히 이러한 인식의 변화로 인한 타격을 크게받을 수밖에 없었다.



국내 음악시장은 매체의 다변화와 발전에 발맞추어 지속적인 성장
을 거듭해왔다. 1960~70년대에 보편적으로 상용되던 아날로그 매체
인 LP와 카세트테이프를 통해 시장을 구축, 확장하기 시작한 국내
대중음악은 1980년대에 처음 도입된 디지털 매체인 CD가 1990년대
들어 완전히 대중화되면서 중흥기를 맞이하였다. 그러나 90년대 후
반부터 빠르게 부상하기 시작한 온-라인매체로 인해 당시 CD에 기
반을 두고 있던 국내 음악시장은 심각하게 위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