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논어』의 리인(里仁)편

안소민 2017. 8. 15. 17:26





효는 인을 이루는 근본이라고 말하고 있다. 인이란 인간 도리의 근본인
데, 그 근본이 바로 설 때만이 길과 방법이 생겨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 길과 방법을 통해 비로소 군자가 된다. 즉 효는 군자가 되는 가장 기본
적인 덕목인 것이다. 또한 자녀는 부모가 살아계실 때뿐만 아니라 돌아가신
후 3년 동안 부모의 뜻을 따라야 한다고 말하고 있으며, 부모가 잘못한 경
우에도 부모의 뜻을 거역하지 않고 그 뜻에 순종하라고 말하고 있다.



『논어』의 리인(里仁)편에는 공자는 부모가 잘못한 것이 있을 지라도
부모의 뜻을 어겨서는 안 되며, 어떠한 경우라도 부모를 원망해서도 안 되
고 특히 부모가 살아있는 동안 자녀는 먼 곳을 가서는 안 되나, 필히 가야
할 경우 부모가 연락할 수 있는 곳을 정해야 하고 부모가 돌아간 후에라도
3년 동안은 부모의 뜻을 어겨서는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139 즉, 『논어』
의 효는 인간 도리의 가장 근본으로 성인에 이르는 필수적인 덕목이며, 어
떠한 경우에도 부모의 뜻을 절대적으로 순종해야 함을 알 있다.



 『논어』에 나타난 효의 의미를 일곱 가지로 정리하는데

첫째, 효와 우애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며,

둘째, 효는 삶의 기본이며,

셋째, 효는 공경하는 마음이며,

넷째, 효란 힘을 다하여 부모를 모시는 것이며,

다섯째, 효란 예(禮)를 따라 어긋남이 없어야 하며,

여섯째, 효는 리더가갖추어야 할 필수요소이며,

일곱째, 효는 궁극적으로 인을 성취해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유교의 인(仁)은 부모에 대한 효를 이루어 이웃에
게도 베풀라는 윤리저인 차원의 사랑”이라고 평가했다.
『논어』에서 말하는 효는 인 즉, 인간관계의 조화와 화합을 이루는 인
간의 가장 중요한 도리로 가정에서부터 부모를 공경하는 것을 시작으로 사
회의 이상을 건설하는 근본적인 덕목인 것이다. 즉 부모와 자녀 간의 이상
적 관계로부터 사회와 국가의 선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본 것이다.



다름으로 『효경』에 나타난 효의 의미를 살펴보겠다. 『효경』은 공자
의 제자인 증자(曾子)가 엮은 것으로 전해지며, 『효경』은 부모에 대한 효
를 가르치고 있으며 논어와 더불어 효 교육에 크게 영향을 미친 책으로 조
선 시대에는 효경을 학습하고 과거시험을 치룰 만큼 매우 중요한 책이었
다.142 먼저 효경에 제시된 효의 의미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효는 덕의 근본이요, 모든 가르침이 그로 말미암아 생겨난다.
우리 몸과 팔다리, 머리카락과 피부까지도 부모에게서 받은 것으로
훼손하거나 상하지 않게 하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