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되지 않은 맑은 공기
오염되지 않은 맑은 공기는 풍수에서 말하는 생기의 근원으로 공기가 들어오면 머무르게
하는 장풍(藏風)94)이 용, 혈, 사, 수라는 형세론에서 요즘같이 오염된 도시 대기 상태에서는
맹점이 되는데 양기(陽基)인 택지에서는 중요 명당조건으로 불린다. 그러나 용적률을 극대화
한 도시의 고층건물 숲에서 산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장풍지세는 차량과 냉 온방으로 건물
에서 배출된 오염된 공기의 순환차원에서 볼 때 도시의 장풍 명당론은 현실성의 변화에 미
흡한 빛바랜 이론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현대의 양택풍수에서는 도시에서 건물 등에 겹
겹이 둘러친 장풍보다는 바람 길이 적절히 열려있는 조건을 양택의 길상으로 보아야 하겠다.
같은 맥락에서 볼 때 주거 공간 내에서는 자연적인 공기순환을 유도한 자연환기가 적
절해야 한다. 자연통풍은 공기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팽창하며 기압이 낮아질수록 팽창하
고 차가운 공기는 하강하고 더운 공기는 상승하며 고압부에서 저압부로 공기가 옮겨가는 기
류 현상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때 통풍과 환기가 원활하게 되어 자연냉방이 된다.
우리나라는 겨울철엔 대체로 북서풍이 많고, 여름철에는 남풍이 많으며, 봄 가을에는 뚜
93) 대류(對流) : 유체 내부에 발생하는 상승류와 하강류를 조합한 흐름으로 데워진 부분은 열팽창
을 하여 주위보다 비중이 작아지며 부력으로 떠오른다. 대류는 열 수송을 능률적
으로 행한다. 중심에서는 핵에너지가 일어나고 전달한 열류가 너무 크게 때문에대류가 발생한다.
94) 장풍(藏風) : 사신사가 나가는 바람을 막아주면 바람의 압력에 의해 생기풍이 되나 강한 바
람은 오히려 지기를 교란시키고 생기를 분산시켜 해롭다. 사신사가 강한 바람을
부드러운 바람으로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이처럼 나가는 바람과 들어오는 바람
을 적절히 막아 조절하여 생기를 흩어지지 않게 해주는 역할을 장풍이라 한다.
전통 들어열개문렷하게 일정한 바람이 없다.
풍향과 창문에 대해 그림으로 살펴볼 때, 겨울철에 대지의 지형적인 조건으로
상풍향이 북서쪽에서 불어오거나 보편적으로 북서풍이 부는 지역일 때,
찬 공기는 (A)방향인 아래로 흐르고 따뜻한 공기는 위(B)로 대류되면서 실내기압은 상승되고,
북서의 찬기운도 작고 높은 문때문에 실내의 공기압을 받아
침투에 저항을 받게 되어실내기온의 유지에도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