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은

추상적 체계성

안소민 2017. 12. 6. 15:39


동적인 상호교류나 상호 작용으로서 이러한 독서는 창조적인 생산 행위이다.
바르트는 이와 관련해 ‘열려진 텍스트’의 중요성을 ‘의미작용’과 연관 지어 말하
고 있으며, 미국 해체주의 이론가 중 한 사람인 밀러나 폴 드 만은 이러한 창
조적 독서 행위에 따르는 극단적인 형태로서 ‘창조적 오독(誤讀)’을 독서 행위
의 중요한 범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창조성은 확고부동하게 안정되어 있
는 의미의 개념을 불가피하게 파괴시킨다.
추상적 체계성이나 총체성을 거부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여준다.

이에 대한 데리다의 견해는 이항 대립이나 이분법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이항대립 관계에서는 본질상 불가피하게 상호 배타적인 두 요소 중에서 유독
어느 하나에만 특권을 부여하고 나머지 하나는 부정하게 마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