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국의 미술평론가 월드마 자누스작(Waldemar Januszczak, 1954~)130)은 런
던 서펜타인갤러리(Serpentine gallery)에서 열린《Fire, Water, Air and Earth》
전에 전시된 스기모토의 작품을 기존 미니멀리스트들과의 비교해서 다룬 글을
기재하였다.131) 그는 스기모토가 1970년대에 로스엔젤리스로 이주한 작가이기
때문에 당시 미니멀리스트들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 언급하였다. 자누스작은
미니멀리스트들의 특징을 공격적이고 진취적이라 규정하였으며 이러한 측면에
서 스기모토는 미니멀리스트일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스기모토의 사진의 정
교한 표면과 그 위에 덧칠한 수많은 층은 미니멀리즘적 요소이다. 또한 자누
스작은 스기모토의 실버젤라틴 프린트와 암실의 작업방식이 이미지를 회색
의 유령처럼 만든다며 비판하였다. 스기모토의 이미지는 매력적이지만 쉽게
부셔질 수 있으며, 공격적이거나 진취적인 경향이 부재한다고 평가받았다.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 그리고 미국의 현대미술에 관하여 프리드는 최근
『예술이 사랑한 사진Why Photography Matters as Art as Never Before』
(2008)에서 과거 Art and Objecthood 에서 논의한‘연극성’과‘사물성’
을 예술사진과 사진의 구조 속에서 재해석하였다.





이러한 논의의 출발에는 월드마 자누스작(Waldemar Januszczak, 1954~)은

영국의 미술평론가이자 다큐멘터리 제
작자이다. 맨체스터 대학(Manchester University)에서 미술사를 전공한 뒤 The Guardian
잡지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하여 1992년 The Sunday Times의 평론가 활동을 하였다.

1990년 영국 TV 채널 4의 예술부분 대표로 임명되었고, 그는 출판인 협회에서 주는
올해의 평론가 상을 두 번 수상하였다.





 《Fire, Water, Air and Earth》전은 2003년 11월 18일~2004년 6월 18일 까지 열렸다.
18세기 프랑스 회화 비평이 있었다. 프리드는『몰입과 연극성Absorption and
Theatricality』(1988)에서 언급한 18세기~19세기 회화 속 인물과 관람자의 관
계를 현대 사진에 대입시켰다.133)『몰입과 연극성』에서 그는 프랑스 회화의
인물과 관람자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회화의 인물들은 캔버스 밖의 바라봄을
인지하지 못하지만 관람자는 회화 속 등장인물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작품에
몰입한다. 관람자와 회화 속 인물의 관계를 보면 회화 속 인물은 의도치 않
게 관람자를 소외시키게 된다. 프리드는 이러한 관람자의 몰입 상황을‘반연
극성’으로 명시하였는데, 이는 그가 정의한 연극성이 관람자와 작품의 외부
상황에서 발생하는 경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는 연극성과 반연극성의 정
의를 근거로 사진과 관람자의 관계를 해석함으로써, 1980년대 이후 사진에
새로운 관점을 제안하였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사요원의 육성  (0) 2018.02.12
업무상 재해  (0) 2017.08.08
거리의 개념  (0) 2017.08.06
멀티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0) 2017.08.05
음반제작자의권리  (0) 2017.08.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