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간에 관한 조사는 장소와 심리적 공간에 대한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우
현옥4)은 공간과 주제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는데 황선미 동화의 주제를 '꿈과
소망의 실현','현실에 대한 비판','타인과 세계에 대한 이해','가족 간의 갈
등과 화해','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 인식'으로 분류하고,주제 구현에 따라
각 공간을 '불화의 공간,'기억의 공간','친화적 공간'으로 구분해서 분석했다.
김용식5)은 황선미의 '마당을 나온 암탉'의 현실 인식의 측면에서 조사 분석
하여 작품에 녹아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의 모습을 고찰하였다.'억압-피억압'
의 대립적인 도식관계를 여성주의의 관점과 권력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작가가 우리 사회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
지를 제대로 돌아보고 어떤 전망을 보여주는지 살폈다.
황선미 동화에 나타난 인물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김현숙6)이 유일하다.김
현숙은 '황선미 동화의 매력'에서 동화속 인물들은 주어진 현실에서 쉽게 순
응하거나 굴복하지 않는다고 말하면서 2002년까지의 황선미가 내놓은 작품
속의 인물들의 특징을 살폈다.현실을 쉽게 좇지않고 맞서는 인물,자신이 처
한 문제에 대해 자기 능력 이상의 문제 해결 방식에 도전하는 인물,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받으려는 인물들로 정리하며 우리가 공감할 수 있는 주인물의
제시가 인기의 비결이라고 보았다.
인물의 유형을 다루는 조사로의 '한국 판타지 동화의 악당'연
구가 있다.한국 판타지동화 속에 등장하는 악당의 성격과 역할을 분석하였는데,
악당의 성격은 시대가 지나면서 전형적,추상적인 데서 독자적이고 구
체적인 성격으로 발전해 왔다.주인공과의 관계에서는 통과제의 관문으로 혹
은 주인공의 그림자로서 역할을,세계와의 관계에서는 현실의 부조리와 신화
원형적 존재를 상징하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양소리나8)는 '권정생 아동문학 조사'에서 권정생의 문학적 모티프를 유형별
로 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드러나는 작품 속 주요 인물들을 연대별로 나누어
인간,비인간,동·식물,사물 등 유형별로 항목을 구분하였다.인물의 유형과
성격을 고려하여 형상화된 유머와 재미를 문학적으로 탐색하고,작품의 특성
을 나타내는데 인물이 어느 정도로 기여하고 어떤 역할을 했는지 문학적으로검토하였다.
'누구나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에너지와 풍수 (0) | 2017.08.22 |
---|---|
조사의 내용과 방법 (0) | 2017.08.21 |
선행 조사 검토 (0) | 2017.08.19 |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0) | 2017.08.18 |
자존감의 욕구 (0) | 2017.08.17 |